윈도우 11을 설치하거나 새 컴퓨터를 세팅할 때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하도록 요구받은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제 걱정하지 마세요! 이 글에서는 MS 계정 없이 로컬 계정으로 윈도우 11을 설치하고 시작하는 다양한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2025년 최신 버전의 윈도우 11에서도 작동하는 방법들이니 꼭 참고하세요.
왜 로컬 계정으로 윈도우 11을 설치해야 할까요?
마이크로소프트는 사용자들이 MS 계정으로 윈도우 11에 로그인하도록 점점 더 강력하게 유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로컬 계정을 선호하는 사용자들이 많습니다:
- 개인 정보 보호 강화 – MS 계정 없이 로컬에서만 정보 관리
- 인터넷 연결 없이도 컴퓨터 사용 가능
- 자녀용 컴퓨터나 중고 판매용 PC 설정 시 편리
- 기업 환경에서 중앙 관리 계정 정책과 충돌 방지
- 마이크로소프트 서버에 개인 데이터 저장을 원치 않을 때
윈도우 11 버전별 로컬 계정 설정 방법
윈도우 11의 버전에 따라 로컬 계정 설정 방법이 약간씩 다릅니다. 아래에서 최신 방법들을 알아보겠습니다.
방법 1: 윈도우 11 24H2 이하 버전에서 OOBE\BYPASSNRO 명령어 사용하기
이 방법은 현재 출시된 윈도우 11 24H2 이하 버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 윈도우 11 설치 과정을 시작하여 “국가 선택” 화면이 나올 때까지 진행합니다.
- Shift + F10 키를 동시에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엽니다.
- 명령 프롬프트에 OOBE\BYPASSNRO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 컴퓨터가 재부팅되고 다시 시작 화면으로 돌아갑니다.
- 다시 Shift + F10을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ipconfig /release를 입력하여 인터넷 연결을 해제합니다.
- 명령 프롬프트를 닫고 설치를 계속 진행합니다.
- “네트워크에 연결하겠습니다” 화면이 나타나면 “인터넷이 없습니다”를 클릭합니다.
- “제한된 설정으로 계속하기”를 선택합니다.
- “이 장치를 사용할 사람” 화면에서 원하는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빈칸으로 두고(권장하지 않음) 다음을 클릭합니다.
- 남은 설치 과정을 완료합니다.
방법 2: 윈도우 11 24H2 이상 버전에서 ms-cxh:localonly 명령어 사용하기 (2025년 최신 방법)
마이크로소프트는 최신 윈도우 11 빌드에서 OOBE\BYPASSNRO 명령어를 제거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방법이 발견되었습니다!
- 윈도우 11 설치 과정을 진행하여 “로그인” 화면까지 이동합니다.
- Shift + F10 키를 눌러 명령 프롬프트를 엽니다.
- 명령 프롬프트에 start ms-cxh:localonly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 “이 PC에 대한 사용자 생성” 대화 창이 나타납니다.
- 원하는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설치 과정을 계속 진행하고 완료합니다.
이 방법은 2025년 4월 기준 최신 윈도우 11 버전에서도 잘 작동합니다. MS 계정 로그인 창을 완전히 우회하고 바로 로컬 계정 생성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방법 3: Rufus를 사용한 맞춤형 설치 USB 만들기
이 방법은 USB를 통해 윈도우 11을 설치할 때 유용합니다. Rufus 프로그램을 이용해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요구 사항을 우회하는 설치 USB를 만들 수 있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사이트에서 윈도우 11 ISO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 최소 8GB 이상의 USB 플래시 드라이브를 컴퓨터에 연결합니다 (모든 데이터가 지워집니다).
- Rufus 4.4 이상 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합니다.
- Rufus에서 USB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 “선택” 버튼을 클릭하고 다운로드한 윈도우 11 ISO 파일을 선택합니다.
- Rufus 창 하단의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 나타나는 대화 상자에서 “온라인 Microsoft 계정 요구 사항 제거” 옵션을 켭니다.
- “확인”을 클릭하여 진행합니다.
- Rufus가 USB 드라이브에 파일 복사를 완료할 때까지 기다립니다.
- 이제 이 USB로 부팅하여 윈도우 11을 설치할 때 MS 계정 없이 로컬 계정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로컬 계정 설정 시 자주 겪는 문제와 해결 방법
1. Shift + F10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
일부 노트북이나 키보드에서는 Shift + F10이 바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음 대안을 시도해보세요:
- Shift + Fn + F10 키 조합 시도하기
- 다른 키보드 연결해보기
- BIOS/UEFI 설정에서 F 키 기능 옵션 확인하기
2. 명령어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OOBE\BYPASSNRO” 명령어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윈도우 11 버전이 최신 버전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
- 대신 start ms-cxh:localonly 명령어 사용하기
- 인터넷 연결을 완전히 끊고 다시 시도하기
- Rufus를 이용한 맞춤형 설치 USB 만들기
3. 설치 후 Microsoft 계정으로 전환하고 싶은 경우
로컬 계정으로 설치했더라도 나중에 언제든지 Microsoft 계정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 설정 앱 열기 (Windows 키 + I)
- 계정 > 자신의 정보로 이동
-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 옵션 선택
- Microsoft 계정 이메일과 비밀번호 입력
로컬 계정 사용 시 알아두면 좋은 사항
로컬 계정으로 윈도우 11을 사용할 때 몇 가지 중요한 점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 윈도우 업데이트는 로컬 계정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합니다.
- Microsoft Store 사용 시에는 별도로 Microsoft 계정 로그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OneDrive, Office 365 등의 Microsoft 서비스 이용 시 별도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설정 동기화 기능은 로컬 계정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보안 패치와 기능 업데이트는 계정 유형과 관계없이 정상적으로 적용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로컬 계정으로 윈도우 11을 설치해도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나요?
대부분의 기본 기능은 사용 가능하지만, Microsoft 계정과 연동된 기능(설정 동기화, OneDrive 자동 백업 등)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Microsoft Store, Office 등의 서비스 사용 시 별도 로그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나중에 로컬 계정에서 Microsoft 계정으로 전환할 수 있나요?
네, 언제든지 설정 앱에서 계정 > 자신의 정보 메뉴로 이동하여 Microsoft 계정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로컬 계정 설정 시 보안에 취약해지나요?
아니요, 로컬 계정도 적절한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안전합니다. 다만, Microsoft 계정의 2단계 인증이나 PIN 설정 등 추가 보안 기능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윈도우 11 이후 버전에서도 로컬 계정 설정이 가능할까요?
마이크로소프트는 지속적으로 로컬 계정 설정 방법을 제한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새로운 우회 방법이 계속 발견되고 있습니다. 최신 방법은 ‘start ms-cxh:localonly’ 명령어입니다.
회사나 학교에서 사용하는 PC에도 이 방법을 적용할 수 있나요?
조직에서 관리하는 PC는 IT 정책에 따라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회사나 학교 PC에 적용하기 전에 IT 관리자에게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합니다
윈도우 11을 사용할 때 Microsoft 계정은 필수가 아닙니다. 로컬 계정으로도 컴퓨터를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개인 정보 보호 측면에서도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 소개한 방법들을 통해 사용자의 선호에 맞게 윈도우 11을 설정하시길 바랍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계속해서 시스템을 업데이트하고 있어 로컬 계정 설정 방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들의 요구와 선택의 자유에 따라 새로운 방법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으니,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면서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