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축구의 최대 축제가 6년 만에 한국으로 돌아왔습니다! 2025년 7월 7일부터 16일까지 경기도 용인·수원·화성에서 펼쳐지는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이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한국이 역대 최다 우승(5회)을 자랑하는 이 대회에서 홍명보호가 어떤 모습을 보여줄지 벌써부터 기대가 모아지고 있습니다.
동아시안컵 핵심 경기 일정표
가장 궁금한 대한민국 경기 일정부터 확인해보겠습니다. 우리나라는 총 3경기를 치르게 됩니다.
대한민국 남자 대표팀 경기 일정
- 7월 7일 (월) 오후 8시 – 대한민국 vs 중국 (용인 미르스타디움)
- 7월 11일 (금) 오후 8시 – 대한민국 vs 홍콩 (용인 미르스타디움)
- 7월 15일 (화) 오후 7시 24분 – 대한민국 vs 일본 (용인 미르스타디움)
특히 마지막 한일전은 사실상 우승을 가를 빅매치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두 나라 모두 강력한 우승 후보이기 때문입니다.
전체 대회 일정 한눈에 보기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동시에 진행되며, 각각 4개국이 참가해 총 12경기가 펼쳐집니다. 모든 팀이 서로 한 번씩 맞붙는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7월 7일: 한국 vs 중국 (남자)
- 7월 8일: 일본 vs 홍콩 (남자)
- 7월 9일: 한국 vs 중국 (여자), 일본 vs 대만 (여자)
- 7월 11일: 홍콩 vs 한국 (남자)
- 7월 12일: 일본 vs 중국 (남자)
- 7월 13일: 한국 vs 대만 (여자), 일본 vs 중국 (여자)
- 7월 15일: 한국 vs 일본 (남자), 홍콩 vs 중국 (여자)
- 7월 16일: 홍콩 vs 중국 (남자), 한국 vs 일본 (여자)
경기장 정보 및 접근성
이번 대회는 세 개의 경기장에서 분산 개최됩니다. 각 경기장별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용인 미르스타디움
대한민국 남자 대표팀의 모든 경기가 열리는 메인 경기장입니다. 수용인원은 37,155명으로 상당한 규모를 자랑합니다. 하지만 교통 접근성에서 아쉬움이 있어 흥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수원월드컵경기장
여자부 경기 일부가 열리는 곳으로, 42,313명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경기장입니다. 2002년 한일월드컵 당시 4강 신화를 써낸 바로 그 곳이기도 합니다.
화성종합경기타운
35,265명 수용 가능한 경기장으로, 여자부 경기가 주로 열립니다. 비교적 최근에 지어진 시설로 쾌적한 관람 환경을 제공합니다.
참가국 및 예선 결과
동아시안컵은 한국, 일본, 중국이 고정 참가하고 나머지 한 자리를 예선을 통해 결정하는 방식입니다.
남자부 참가국
- 한국 – 역대 최다 우승국 (5회)
- 일본 – 2013년, 2022년 우승
- 중국 – 2005년, 2010년 우승
- 홍콩 – 2024년 12월 예선 통과
여자부 참가국 변경사항
여자부에서는 예상치 못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원래 북한이 2024년 12월 예선에서 대만을 5-0으로 꺾고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지만, 최종적으로 대회 참가를 포기했습니다. 이에 따라 예선 2위였던 대만이 대신 출전하게 되었습니다.
- 한국 – 2005년 우승
- 일본 – 2008년, 2010년, 2019년, 2022년 우승
- 중국 – 준우승 경험 다수
- 대만 – 북한 불참으로 본선 진출
홍명보호 소집 명단 및 전략
홍명보 감독은 이번 대회를 국내파 선수들을 점검하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총 23명의 선수가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7명이 처음으로 A대표팀에 발탁되었습니다.
주요 발탁 선수
- 골키퍼: 조현우(울산), 김동헌(대전), 이창근(대전)
- 수비수: 이태석(포항), 김주성(서울), 김태현(전북) 등
- 미드필더: 전진우(전북), 박진섭(전북), 나상호(FC서울) 등
- 공격수: 오세훈(마치다), 이동경(울산), 문선민(전북) 등
특히 나상호는 2년 만에 대표팀으로 복귀하며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또한 K리그 선수 19명, K리그2 선수 1명, J리그 선수 3명으로 구성되어 아시아 기반 선수들을 집중 점검하는 모습입니다.
중계 방송 정보
동아시안컵 중계는 TV조선과 쿠팡플레이에서 담당합니다. 특히 쿠팡플레이는 한국 대표팀 경기를 무료로 중계하며, 제3국 경기는 유료로 제공합니다.
중계 채널
- TV조선: 대한민국 경기 생중계
- 쿠팡플레이: 전 경기 중계 (한국 경기 무료)
- 해외: 일본 후지TV, 중국 ZhiBo8 등
역대 대회 성적 및 전망
동아시안컵의 역사를 돌아보면 한국이 압도적인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총 9회 대회에서 5회 우승을 차지하며 최다 우승국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습니다.
역대 우승국 현황
- 한국: 5회 우승 (2003, 2008, 2015, 2017, 2019)
- 일본: 2회 우승 (2013, 2022)
- 중국: 2회 우승 (2005, 2010)
이번 대회에서 한국이 우승한다면 6번째 우승으로 기록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습니다. 특히 홈 어드밴티지를 살린 경기력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티켓 정보 및 관람 가이드
안타깝게도 이번 대회는 흥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개막전인 한국 대 중국전에도 4,426명만이 관중석을 찾았으며, 이는 용인 미르스타디움 수용인원의 약 12%에 불과한 수치입니다.
관람 팁
- 티켓 구매: 인터파크 글로벌, KFA 플레이를 통해 구매 가능
- 교통편: 용인 미르스타디움 접근성 확인 필요
- 주차: 경기장 주차 공간 협소하므로 대중교통 이용 권장
대회의 의미와 전망
동아시안컵은 단순한 친선 경기가 아닙니다. 홍명보 감독에게는 국내파 선수들의 실력을 점검하고 팀의 전술을 다듬을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특히 2026 북미 월드컵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여자부에서는 북한의 불참으로 남북 대결을 볼 수 없게 된 것이 아쉽지만, 대신 대만과의 경기를 통해 새로운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무엇보다 6년 만에 국내에서 열리는 동아시안컵인 만큼, 축구팬들의 많은 관심과 응원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비록 흥행에 어려움이 있지만, 우리 선수들이 최선을 다해 좋은 경기를 보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마무리
2025 동아시안컵은 한국 축구의 현재와 미래를 가늠해볼 수 있는 중요한 대회입니다. 홍명보 감독의 새로운 시도들과 젊은 선수들의 활약을 통해 팬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대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7월 7일부터 시작되는 이 축제에 많은 관심과 응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