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1인당 10만원 추가 지원 완벽 가이드

전국민의 90%가 대상인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이 오는 9월 22일부터 본격 시작됩니다. 첫 번째 지급과 달리 이번에는 소득 상위 10%를 제외한 선별 지급으로, 정확한 지급 기준과 신청 방법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2차 소비쿠폰의 지급 대상, 신청 절차, 주요 변경 사항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특히 건강보험료 기준표와 고액자산가 제외 조건 등 복잡한 선별 기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드립니다.

2차 소비쿠폰 핵심 정보 한눈에 보기

지급 금액: 1인당 10만원 (전차와 동일)
신청 기간: 2025년 9월 22일(월) 오전 9시 ~ 10월 31일(금) 오후 6시
지급 대상: 전국민의 90% (소득·자산 상위 10% 제외)
사용 기한: 2025년 11월 30일까지

누가 받을 수 있나? 지급 대상 기준 완벽 분석

기본 선정 기준: 소득 하위 90%

2차 소비쿠폰은 가구 합산 소득 하위 90%에 해당하는 국민이 대상입니다.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판단하며, 1인 가구는 특별 보정을 적용합니다.

1인 가구 특별 기준: 직장가입자 기준 연소득 약 7,500만원 수준 (건강보험료 22만원)

건강보험료 기준표 상세 분석

지급 여부는 본인과 가구원의 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료 제외) 합산 금액으로 결정됩니다. 외벌이 가구와 맞벌이(다소득원) 가구 기준이 다르게 적용됩니다.

외벌이 4인 가구 기준 예시:
– 직장가입자: 51만원 이하
– 지역가입자: 50만원 이하
– 혼합가입자: 52만원 이하

맞벌이 4인 가구 기준 예시:
– 직장가입자: 60만원 이하 (5인 가구 기준 적용)
– 지역가입자: 59만원 이하
– 혼합가입자: 62만원 이하

고액자산가 제외 기준

건강보험료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다음 조건에 해당하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재산세 과세표준 기준: 가구원 합산 2024년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12억원 초과
→ 공시가격 기준 약 26억 7천만원 상당의 부동산 보유

금융소득 기준: 가구원 합산 2024년 귀속 금융소득 합계액이 2천만원 초과
→ 연 2% 이자율 기준 예금 10억원 또는 배당수익률 2% 기준 투자금 10억원 수준

언제, 어떻게 신청하나? 신청 방법 완전 정리

신청 기간과 요일제 적용

전체 신청 기간: 2025년 9월 22일(월) 오전 9시 ~ 10월 31일(금) 오후 6시

첫 주 요일제 (9.22~9.26):
– 월요일: 출생년도 끝자리 1, 6
– 화요일: 출생년도 끝자리 2, 7
– 수요일: 출생년도 끝자리 3, 8
– 목요일: 출생년도 끝자리 4, 9
– 금요일: 출생년도 끝자리 5, 0
– 토·일요일: 모든 출생년도 (온라인만)

온라인 신청 방법

카드사 플랫폼: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롯데카드, 삼성카드,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 BC카드 (홈페이지·앱·ARS)

지역사랑상품권 앱: 코나아이, 한국조폐공사, 비즈플레이, KIS정보통신, 나이스정보통신, 부산은행, 제로페이, IM뱅크, 전북은행

모바일 플랫폼: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앱

새로 추가: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앱(The건강보험)

오프라인 신청 방법

주민센터: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은행 영업점: KB국민은행, NH농협,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iM뱅크, 경남은행, 광주은행, 새마을금고, 우체국, 전북은행, 부산은행, SC제일은행, 제주은행, 수협은행, 저축은행, 농·축·신협

내가 대상자인지 미리 확인하는 방법

국민비서 사전 알림 서비스

9월 15일(월)부터 지급 대상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1차에 이미 알림 서비스를 신청했다면 별도 신청 없이 자동으로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 가능한 플랫폼 (17개):
네이버, 카카오톡, 토스, KB스타뱅킹, KB Pay, 신한SOL, 우리WON뱅킹, 우리WON카드, 카카오뱅크, 하나원큐, 하나Pay, i-ONE Bank, NH올원뱅크, PASS(3사), SKT(Tworld), 국민비서 홈페이지(www.ips.go.kr)

내 정보 직접 확인하기

건강보험료 확인: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앱·고객센터(1577-1000)
재산세 과세표준: 위택스 홈페이지(www.wetax.go.kr)·앱(스마트 위택스)
금융소득: 홈택스 홈페이지(www.hometax.go.kr)

1차와 달라진 점은? 주요 변경 사항

지급 방식의 변화

1차 지급: 전국민 대상, 소득별 차등 지급 (15만원~45만원)
2차 지급: 소득 하위 90% 선별, 균등 지급 (10만원)

신청 절차 개선

건강보험공단 조회 추가: 2차부터 건보공단에서도 대상자 조회 가능
요일제 완화: 첫 주에만 적용, 이후 자유 신청
연휴 대응: 개천절·추석 연휴에도 온라인 신청 가능

특별한 상황별 신청 가이드

다소득원(맞벌이) 가구의 특례

가구 내 소득원이 2인 이상인 경우 ‘가구원 수 + 1명’ 기준을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4인 가구 맞벌이의 경우 5인 가구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소득원 인정 기준:
– 모든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중 2024년 귀속 소득이 300만원 이상인 경우

군인 복무자를 위한 관외신청

현역복무확인서를 지참하여 복무지 주민센터에서 ‘관외신청’이 가능합니다. 복무지에서 사용 가능한 선불카드를 지급받을 수 있으나, 주민등록상 주소지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신청 편의 서비스:
– 지자체 담당자의 부대 방문 서비스
– 부대 관리자의 일괄 대리신청

가족 관계 변동 시 이의신청

기준일(6월 18일) 이후 혼인·이혼, 출생·사망 등의 가족 관계 변동이 있는 경우 이의신청을 통해 반영할 수 있습니다.

이의신청 방법:
– 오프라인: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온라인: 국민신문고 접수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 1차를 받지 않았는데 2차만 받을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1차와 2차는 별도의 지급 정책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신청하고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Q. 건강보험료가 기준에 걸쳐 있는 경우 어떻게 하나요?

A. 실직, 휴직, 폐업 등으로 소득이 줄어든 경우 건강보험공단에 보험료 조정을 신청한 후 이의신청할 수 있습니다.

Q. 외국인도 받을 수 있나요?

A. 영주권자(F-5), 결혼이민자(F-6), 난민인정자(F-2-4) 등 특정 체류자격자만 가능하며, 건강보험 가입이 전제 조건입니다.

Q. 미성년자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A. 주민등록상 세대주가 대신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놓치면 안 되는 중요 체크포인트

  • 마감 기한 엄수: 10월 31일 오후 6시 이후에는 절대 신청 불가
  • 사용 기한: 2025년 11월 30일까지만 사용 가능, 잔액 자동 소멸
  • 중복 신청 불가: 한 번 지급받으면 추가 신청 불가
  • 전화 확인: 궁금한 사항은 110 국민콜 또는 1670-2525 전담콜센터 이용

민생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은 경기 부양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중요한 정책입니다. 지급 기준을 정확히 파악하여 해당자는 놓치지 말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건강보험료 기준이 복잡하므로 사전에 충분히 확인한 후 신청 기간 내에 여유있게 처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본 정보는 행정안전부 공식 발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세부 사항은 관련 기관에 직접 문의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남기기